티스토리 뷰
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화법은 6가지입니다. 아래의 자세한 일상 대화 예시를 읽어보시고 이런 화법을 쓰는 사람과 거리를 둘 것을 권합니다.
가스라이팅이란
• 피해자의 심리를 다양하고 교묘한 방법으로 조작하는 행위를 말합니다.
• 상대방의 현실 감각, 기억력, 상황 판단력, 자신감을 송두리째 망가뜨리는 정서적 학대 행위입니다.
가스라이팅 화법 알아보기
1. 부정
• 예시: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어, 네가 상상하고 있는 거야, 네가 착각하는 거야 등
• 가스라이터가 사용하는 가장 기초적인 전략입니다.
• 피해자가 자기 스스로를 의심하게 하고 현실감각을 잃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• 피해자가 주장하는 경험이나 사건 해석을 명백하게 부인함으로써 피해자에게 혼란감을 주고 자신의 기억을 의심하게 만듭니다.
• 피해자를 통제하고 지배하기 위해 피해자의 시각과 경험에 대해 타당성을 인정하지 않습니다.
• 가스라이터는 자신의 경험을 강화하고 피해자의 자신감을 훼손합니다.
• 피해자는 혼란과 불신 및 가스라이팅으로 인한 기억 상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이성과 기억을 의심하기 시작합니다.
• 이 화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피해자의 현실감이 훼손되어 가해 행위에 더욱 취약해집니다.
2. 최소화
• 예시: 그건 큰 문제가 아니야, 네가 과잉반응하는 거야,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마 등
• 피해자의 감정 또는 행동의 중요성을 축소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• 가스라이터는 피해자의 감정이나 제안을 무시하거나 사소하게 여기면서 피해자의 자신감을 감소시킵니다.
• 상황이나 사건의 심각성을 최소화하거나 피해자의 감정 및 행동의 타당성을 부정합니다.
• 피해자의 경험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함으로써 자신의 힘과 통제를 유지하려고 합니다.
• 심지어 가해자는 자신이 한 행동을 최소화하여 피해자나 외부 상황을 탓하기도 합니다.
• 피해자는 자신의 감정과 경험의 타당성을 의심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지나면 자아 존중감을 잃을 수 있습니다.
• 이 화법이 지속되면 피해자는 자율성과 선택의 의지가 손상되며 강제적인 환경이 형성됩니다.
3. 주제 이탈
• 예시: 또 그 이야기야?, 네가 그때 잘못한 일은 잊었어?, 그때 이야기 좀 해보자 등
👆가스라이팅을 잘 하는 성격 장애: '나르시시스트'가 대체 어떤 사람이길래?
• 피해자의 정당한 주장에 대해 주제에서 벗어나는 말을 함으로써 주의를 전환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.
• 가스라이터는 대화의 주제를 바꾸거나 책임을 회피하며 피해자의 혼란 및 의문을 만들어냅니다.
• 피해자와의 대화에서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법으로 피해자는 자기주장이나 생각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.
• 피해자는 자신의 행동이 계속해서 무시되거나 배척되면 무력감과 혼란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• 이 화법이 지속되면 피해자는 의사소통능력과 관계 문제 해결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감소됩니다. 또 의견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하고 효과적인 자기주장을 하지 못합니다.
• 가스라이터의 잘못에 대해 피해자가 타당한 의견을 제시할 때 갑자기 주제를 바꾸거나 피해자의 과거 잘못을 들추는 등 피해자에게 혼란감을 줍니다.
• 다른 사람을 탓하거나 비아냥거리는 말투 등으로 대화의 심각성을 경시하기도 합니다.
4. 반박
• 예시: 절대 그런 일은 없었다, 네가 틀렸겠지 등
• 피해자의 기억력이나 현실 감각에 대해 부정하거나 반박함으로써 피해자의 마음에 불신과 혼란을 주는 화법을 말합니다.
• 가스라이터는 자신에게 불리한 기억에 대해 부정하며 자신이 주장하는 기억에 대해 강조하며 피해자의 주장을 약화시킵니다.
• 반박은 부정, 최소화, 주제이탈 화법과 함께 사용되며 피해자의 기억 상실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5. 투사
• 예시: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거야?, 날 못 믿는 거야?, 너는 편집증이 있어 등
• 피해자에게 탓을 돌리거나 자신의 부정적인 특성을 피해자의 특성으로 취급하며 비난하는 교묘한 전략입니다.
• 가해자는 책임을 회피하고 대화의 통제권과 주도권을 유지합니다.
• 실제로 자신의 행동임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왜곡하며 자신의 잘못에 맞춰진 초점을 피해자에게로 전환시킵니다.
• 대화의 초점은 피해자의 결점과 취약점으로 전환되고 자신감을 잃은 피해자는 유죄감이나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.
• 이 화법이 지속되면 피해자의 현실지각능력의 훼손을 초래하고 강압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6. 정보 보류 또는 회피
• 예시: 내가 다 알아서 할게, 넌 몰라도 돼, 니가 걱정할 필요 없어, 넌 신경쓰지마 등
• 구체적인 상황 예시로는 외도 중인 배우자가 급여, 생활 지출 금액을 '당신은 몰라도 돼'라며 알려주지 않고, 상대는 점점 사소한 지출도 의존하게 되는 경우입니다.
• 가해자의 불편한 진실을 숨기기 위한 전술로 중요한 사실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피해자가 진실에 반박하지 못하게 막는 것입니다.
• 설사 좋은 목소리로 '내가 알아서 할게.' 라고 했을지라도 그 숨은 의도에는 '더 이상 알려고 하지마라.'라는 의도를 숨길 수 있습니다.
•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피해자가 자신의 통제력과 권위에 도전하는 것을 방지합니다.
• 과거의 사건에 대해 알려주지 않거나 대답을 피하고 모호한 반응을 보입니다.
•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현실을 이해하려는 피해자는 좌절감, 무력감 및 의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함께보면 좋은 글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저시급, 월급, 주휴수당, 연봉, 퇴직금, 실업급여 실수령액 계산방법, 계산기 (0) | 2024.07.15 |
---|---|
승모근 스트레칭, 거북목 교정 운동, 직각어깨 만들기 (0) | 2024.07.05 |
모기 기피제 부작용 성분, 추천 (어린이, 임산부 주의사항) (0) | 2024.06.07 |
모기가 좋아하는 것 10가지, 잘물리는 사람, 안물리는 방법 (0) | 2024.06.05 |
어린이 미아방지 지문등록 방법ㅣ안전드림(PC, 모바일앱) 신청서 작성방법ㅣ치매노인, 장애인 (0) | 2024.05.27 |
땀 얼룩 제거법 '이걸로' 했더니? 완전 새 옷 (흰티 겨드랑이, 목때) (0) | 2024.05.22 |